
Spring Framework에서 의존성을 주입받는 방법 3가지 - DI / Dependency Injection
Spring Framework Triangle이라 불리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3요소 IoC(역전 제어), AOP(관심 지향 프로그래밍), PSA(서비스 추상화)를 다룰 예정입니다. 그 전에 DI…
Spring Framework Triangle이라 불리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3요소 IoC(역전 제어), AOP(관심 지향 프로그래밍), PSA(서비스 추상화)를 다룰 예정입니다. 그 전에 DI…
아파치 카프카는 여러 대의 분산 서버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분산 메시징 시스템입니다. 메시지를 받고, 받은 메시지를 다른 시스템이나 장치에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데요, 높은 처리량과 실시간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해 초점을 맞췄으나 이제는 기능과 신뢰성을 향상시켜 현재는 데이터가 들어오는 대로 순차 실행하는 플랫폼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카프카란 무엇인지 한 번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어떤 문제에 직면했고, 어떤 방향으로 해결하는지 스토리를 담아 작성한 글은 설령 해당 기술의 버전이 바뀌었을지라도 미래의 나에게 문제 접근 해결 방식에 대한 영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글쓰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글또에 참여하며 꾸준히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보통 1년 회고를 연말에 많이 하는데, 올해부터는 매월을 보내고 하는 월말 회고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얼마 전 우연히 '월말 회고' 포스팅을 접했다가 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했고, 매월 작성하면 1년도 저절로 알차지지 않을까요?
단순히 크롤링하는 라이브러리를 익혀보는 것으로 끝내기보다, 평소 갈증이 있었던 스터디 모집 새글 알림을 받도록하는 크롤링을 목표로 작은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Python + Github Issue + Github Action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스터디 모집 글을 모아 알림을 주는 크롤러를 함께 만들어요.
작년은 개발자로서 선뜻 털어놓기 어려웠던 고민이 많았던 한 해입니다. 해결하지 못한 고민들이 제 발목을 옥죄올 때 만난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마치 저를 기다린 것 같더군요. 제 고민들을 단 번에 해결해준 책 <함께 자라기>를 소개합니다.
get/set 지옥에서 벗어나는 ModelMapper lib를 소개합니다. 자바에서 DTO 컨버팅을 할 때 멤버 필드를 하나하나 명시해서 변환을 많이 하곤 합니다. 이럴 경우 휴먼 에러가 발생 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2~3년 전부터 작성하고 싶었던 한해 마무리 회고를 드디어 처음으로 작성한다. 매년 바쁘고 글감이 부족하단 이유로 흐지부지되었는데, 얼마 전 잠실 모각코 송년회 모임을 하면서 한해 회고를 가볍게 진행했다. 이때 작성한 회고를 좀 더 발전시켜 첫 회고 포스팅을 시작한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의 후반부는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같은 조직내에서 동일한 환경으로 배포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으로 시작한다. 무중단 배포로 서비스 다운타임을 없애 고객은 새로운 릴리즈가 적용되었는지 조차 모른다. 이후 배포된 서비스들을 모니터링하며 수 많은 마이크로서비스들을 아우르는 대규모 마이크로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의 전반부는 MSA를 지탱하는 기본 개념과 어떻게 모놀리스로 부터 MSA로의 전환을 시작 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